유니버설디자인리빙랩은 서비스디자인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한 제품디자인 기획단계를 지원하는 지원시설이다.
유형의 디자인결과물 보다는 소비자의 경험, 욕구, 니즈 등을 파악하여 제품기획이나 디자인개발 전 과정의 프로세스를 서비스디자인이라고 해석할수도 있는데, 이러한 서비스디자인에도 기사자격증이 있다.
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이 디자인진흥법의 일부로 명확히 포함된 것은 2020년 2월 개정된 **디자인진흥법(제14674호)**에서 부터이다.
이를 통해 서비스디자인이 법적 정의와 지원 체계를 갖추게 되었으며, 국가 차원의 서비스디자인 진흥 및 발전이 본격화되었다.
제정이 된배경으로는 챗GPT에 물어보니, 다음과 같이 답변을 해주었다.
-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 전통적인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에서 서비스 중심 경제로 변화하면서, 서비스산업에서의 혁신이 국가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로 떠오름
- 서비스 디자인은 제품의 제공 방식과 고객 경험을 개선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 여겨짐짐
- 사용자 중심 접근법의 필요성
- 사용자 경험(UX)과 고객 중심의 서비스 설계가 공공서비스와 민간 분야 모두에서 중요
- 이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육성하기 위해 서비스디자인을 법적 기반으로 정착시키려는 필요성이 제기
- 글로벌 경쟁력 강화
- 유럽, 북미 등 선진국에서 서비스디자인이 이미 공공서비스 개선 및 산업 혁신 도구로 자리 잡은 상황에서, 한국도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지원이 요구됨
- 서비스디자인의 정의와 역할 정립
- 서비스디자인의 범위와 역할을 명확히 정의하여, 관련 산업의 체계적 성장과 전문 인력 양성을 도모하기 위해 법적 기반이 필요
- 공공서비스의 혁신 요구
-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 접근법으로 서비스디자인이 주목받았으며, 이를 지원하기 위해 법적 체계가 필요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자격증에 대해서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는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사고를 통해 유·무형의 서비스 모델을 기획, 설계, 개발, 운영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제정된 국가기술자격으로 2020년 최초로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자격증이다. 서비스 산업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이를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국가기술자격으로 제정되었다.자격증을 따기위해 갖추어햘 전문지식으로 추후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 공공 서비스 개선: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더욱 사용자 친화적으로 설계
- 기업 혁신: 기업이 소비자 경험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
- UX/UI 전문가 양성: 디지털 환경에서의 사용자 경험 설계가 필수적인 직무
- 교육 및 연구: 서비스 및 경험 디자인에 대한 체계적 학습과 연구를 촉진
단순한 디자인 역량을 넘어 사용자 중심 사고를 기반으로 서비스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개선할 수 있는 능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볼수 있다.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의 응시자격과 시험과목은 다음과 같다. 자세한 업데이트 또는 개성된 내용은 항상 한국디자인진흥원 홈페이지를 참고하는것이 가장 좋다.
응시 자격:
- 관련 학과의 4년제 대학 졸업자 또는 졸업 예정자
- 3년제 전문대학 관련 학과 졸업자 중 졸업 후 1년 이상의 실무 경력자
- 2년제 전문대학 관련 학과 졸업자 중 졸업 후 2년 이상의 실무 경력자
- 동일 및 유사 직무 분야에서 4년 이상의 실무 경력자
- 산업기사 자격 취득 후 동일 및 유사 직무 분야에서 1년 이상의 실무 경력자
- 기능사 자격 취득 후 동일 및 유사 직무 분야에서 3년 이상의 실무 경력자
시험 과목 및 방법:
- 필기 시험:
- 과목: 서비스·경험디자인 기획설계, 사용자 조사분석, 사용자 중심 전략수립, 서비스·경험디자인 개발 및 운영
- 형식: 객관식 4지선다형, 과목당 20문항, 총 80문항
- 시간: 2시간 30분
- 합격 기준: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시험:
- 과목: 서비스·경험디자인 개발실무
- 형식: 필답형
- 시간: 3시간
- 합격 기준: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어떻게 준비해야할까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는 생긴지 얼마 되지 않아 관련 정보를 찾기힘들지만, 운영처인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어느정도 요구하는 직무지식이나 준비과정에 대해 소개하는 사이트를 운영하니 참고를 하는것이 가장 도움이 될것 같다https://designq.kidp.or.kr/home?utm_source=chatgpt.com
- 이론서 학습: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경험디자인 이론서를 통해 기본 개념과 이론을 학습
- 기출문제 풀이: 기출문제를 통해 문제 유형을 파악하고, 실전 감각을 높임
- 핵심 키워드 정리: 핵심 키워드를 정리하여 주요 개념을 숙지하고, 시험 직전에 복습
- 실무 경험 활용: 실무 경험이 있다면, 실제 사례를 통해 학습한 이론을 적용해보는 연습
- 스터디 그룹 참여: 동료들과 함께 스터디를 구성하여 서로의 지식을 공유하고, 모의 시험을 통해 실전 대비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25년도 시험일정은
□ 2025년도 시험일정(고용노동부 국가기술자격 검정 시행계획서)
올해 제 6회차로 5월말 원서접수, 6/28 필기시험, 10/11 실기시험으로 진행된다. 시험구정 및 합격기준은 다음과 같다.
□ 시험구성
ㅇ 필기시험(1차): 객관식 총 80문항, 4개 과목으로 구성
· 과목1: 서비스·경험디자인 기획설계(20문항)
· 과목2: 사용자 조사·분석(20문항)
· 과목3: 사용자 중심 전략 수립(20문항)
· 과목4: 서비스·경험디자인 개발 및 운영(20문항)
ㅇ 실기시험(2차): 필답식 약 25문항 내외, 단일 과목으로 구성
· 과목: 서비스·경험디자인 개발실무
□ 합격기준
ㅇ 필기시험: (4개 과목)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ㅇ 실기시험: (단일 과목) 60점 이상
2020~2024년 제1~5회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국가기술자격 검정을 시행하여 누적 취득자는 1,064명이라고 한다.
디자인진흥법의 개정과 함께 서비스디자인은 더 이상 한정된 영역이 아닌, 공공 및 민간의 광범위한 분야에서 혁신과 사용자 중심 사고를 실현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잡은 만큼 앞으로의 기대가 되는 디자인 영역이니 관심있는 디자이너분들은 도전해보길 권장한다.